나노 '원자촉매 호텔' 기술 개발, 자기 방을 가진 원자들의 반응과 효율성 극대화를 이루다
POSTECH 연구팀, 2D 나노공간 제한 기술로 화학산업 혁신 가능성 열어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연구진이 화학 반응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원자촉매 호텔' 기술을 개발해 화학 산업의 패러다임을 바꿀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 성과는 화학 분야 권위지 '앙게반테 케미(Angewandte Chemie)'에 최근 게재됐다.
화학과 이인수 교수와 심지훈 교수가 이끄는 공동연구팀은 '2D-나노공간 한정' 전략을 통해 단일 원자 촉매의 효율성 문제를 해결했다. 이 기술은 두 개의 얇은 실리카층 사이에 금속 원자를 가두어 원자들이 뭉치는 현상을 방지한다.
화학 산업계는 오랫동안 백금(Pt), 팔라듐(Pd) 등 귀금속 원자가 개별적으로 분포된 '단일 원자 촉매'(Single-Atomic Catalyst) 개발에 주력해왔다. 이러한 촉매는 화학 반응을 매우 효율적으로 일으킬 수 있지만, 귀금속 원자들이 서로 뭉치는 성질 때문에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은 실리카층 사이의 좁은 공간에 원자들을 가두어 수직 이동을 제한하고 옆으로만 움직이게 한다. 이 제한된 공간에서 원자들은 1나노미터(nm) 두께의 금속 산화물 시트 위에 균일하게 배열된다. 마치 각 촉매 원자가 호텔의 개별 객실에 머무는 것과 같은 구조다.
이 새로운 촉매는 알코올에서 수소를 추출하는 반응에서 기존 촉매보다 월등히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이 반응은 알코올을 유용한 화학물질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중요하게 활용된다.
이인수 교수는 “단순한 합성 공정을 통해 촉매를 만들 수 있어 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실리카처럼 비교적 저렴한 재료를 사용해 경제성까지 확보한 친환경 기술”이라며 “이 촉매는 재활용할 수 있어 실제 산업에 적용되면 훨씬 더 효율적이고 환경친화적인 화학 공정이 가능해질 것"이라는 기대를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