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윤석열 탈당 요구 확산

계엄 사태 관련 '정치적 결별' 주장 vs "뺄셈 정치 배격" 반발

2025-04-07     김수정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 ⓒ영남경제 자료

국민의힘 내부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탈당 요구가 확산되고 있다. 헌법재판소의 파면 결정 이후 당 일각에서는 차기 대선을 위해 윤 전 대통령과의 '정치적 결별'이 불가피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김상욱 의원은 7일 SBS 라디오에 출연해 "국민의힘이 계엄 사태와 관련해 국민에게 행동으로 하는 사과는 바로 윤 전 대통령에 대한 탈당 조치"라고 주장했다.

진행자가 '당에서 출당시켜야 하는가'라고 묻자 김 의원은 "당연히 그렇다고 생각한다"며 "보수의 가치를 정면으로 훼손했고, 당헌을 정면으로 부인했다"고 답했다.

앞서 김 의원은 헌법재판소가 윤 전 대통령 파면을 결정한 4일을 국경일인 '민주주의 기념일'로 제정하자고 제안해 당내 일부 의원들로부터 탈당 요구를 받기도 했다.

이에 김 의원은 "내가 왜 징계 대상인가"라며 "나는 당헌에 위배되지는 않았다"고 반박했다.

조경태 의원도 CBS 라디오에서 "(윤 전 대통령과) 절연하지 않으면 (대선은) 필패"라며 "우리가 이기기 위해서는 비상계엄이라는 위헌·위법 행위로 탄핵된 대통령과의 절연은 필연적"이라고 강조했다.

조 의원은 "당헌·당규에 법률을 위반할 경우 제명 또는 탈당을 권유하게 돼 있는데, 법률보다 상위에 있는 헌법을 위반한 대통령에 대해서는 좀 더 단호함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과거에 노무현 전 대통령은 '나를 밟고 가라'며 당에 부담을 주지 않으려고 희생하는 모습을 보였다"며 윤 전 대통령의 태도를 비판했다.

권영진 의원은 KBS 라디오에서 "(윤 전 대통령을) 국민의힘과 한 묶음으로 소환해서 선거 구도를 만들려는 게 민주당의 전략"이라며 "정치적으로는 이제 대통령과 국민의힘은 다른 길을 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는 "대통령도 선거나 정치는 당에 맡긴다고 하셨으니까, 그런 기조로 가셨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반면 윤상현 의원은 이 같은 주장에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그는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우리는 전직 대통령과의 자산과 부채를 같이 짊어지고 갈 수밖에 없다"며 "과거에도 우리가 이런 식의 위기에 대통령과의 적극적인 절연을 통해서 위기를 탈피하려고 한 적이 수 차례 있었는데, 나는 그런 '뺄셈 정치'를 배격한다"고 주장했다. 윤 의원은 "절연보다 더 무서운 게 분열"이라고 강조했다.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윤 전 대통령에 대한 탈당 요구를 해당 행위로 볼 수 있느냐는 질문에 "구체적으로 문제가 되는 해당 행위가 나오면 그때 판단하겠다"고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