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25% 철강 관세, 한국에 복합 위기
관세 부과, 기회와 도전의 갈림길에 선 한국 철강업계
2025-03-12 강신윤 기자
전문가들은 이를 두고 "엎친 데 덮친 격"이라고 평가하며, 업계의 긴장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미국의 새로운 관세 조치는 한국 시간 기준 12일 오후 1시 1분부터 효력을 발휘했다.
국내 철강 업계는 이미 중국산 저가 제품의 공세로 인해 수익성이 감소한 상태에서, 이번 조치로 대미 수출이 더욱 위축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기존에는 '263만t 무관세' 쿼터를 적용받았던 상황에서 이제 모든 국가가 동일한 조건에서 경쟁하게 됐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가격 변동폭이 작은 상황에서 25%의 추가 관세는 기업 경영에 큰 부담"이라며 "수익성 악화를 피하기 위해 미국 내 투자 확대 등 다양한 대안을 모색 중"이라고 밝혔다.
한·미 수입업체들이 증가된 관세 부담을 수출업체로 전가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어 우려를 더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미국철강협회(AISI)와 철강제조자협회(SMA)는 한국 정부가 자국 철강사들을 지원하는 정책을 지적하며 최소 25%의 추가 관세 부과를 요구하고 있다.
이에 대해 한 업계 관계자는 "미국 측의 주장은 오래된 것"이라며 "정부와 협력하여 대응책을 마련 중"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러한 위기 속에서도 일부는 '제로 베이스' 경쟁 환경에서 새로운 기회를 엿보고 있다.
제한 규제가 해소됨으로써 특정 제품군에서는 경쟁력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다.
현대제철은 이미 미국 현지에 자동차 강판 생산 제철소 건립을 추진 중이며, 포스코도 상공정 분야 투자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하는 알래스카 가스전 개발 및 해군력 증강 사업에서도 한국이 최우선 파트너로 거론되고 있어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알래스카 가스전 사업 참여는 특수강 수요 증가로 이어질 것이며, 이는 한국 철강사들에게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