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숙원사업 군부대 이전...후적지개발사업 본격화
민·군 상생 통한 경제 활성화 기대
2025-03-05 김수정
현재 대구시는 도심에 분포한 국군 및 미군 부대들이 지역 발전을 저해한다는 지적에 따라 이들을 외곽으로 이전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2022년 10월, 영천시, 상주시, 군위군, 의성군, 칠곡군 등 5개 지자체로부터 유치 제안서를 받아 같은 해 12월 국방부에 사전 협의를 요청했다.
이후 2023년 12월에는 시와 국방부 간 민·군 상생 협력 방안을 담은 업무협약(MOU)이 체결되었으며, 이는 2030년까지 대구 내 육군 제2작전사령부, 제50사단사령부, 제5군수지원사령부, 공군 제1미사일방어여단·방공포병학교 등 국군 5개 부대의 이전이 가시화됬다.
국방부가 군부대 유치 의사를 중도 철회한 칠곡군을 제외한 나무지 시·군 중 군위군, 상주시, 영천시 등 3곳을 예비후보지로 선정하여 대구정책연구원에 의뢰한 결과 사업비와 사업절차의 용이성, 이전 지역의 수용성 등을 검토해 군위군을 최종 이전지로 선정했다.
이전 사업은 기부 대 양여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에 따라 시는 내년 상반기 중 국방부와 합의각서를 체결할 계획이며, 이를 바탕으로 군사시설 건설과 민·군 상생타운 조성, 양여부지 개발, 기부대 양여 사업화 방안 등 종합적으로 계획을 수립하여 국방부와 협의해 기획재정부의 심의를 거쳐 합의 각서 체결에 이르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이 순조롭게 진행될지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지난해 비상계엄 사태로 인해 예비 후보지 선정이 지연된 만큼 앞으로의 협의 과정에서도 난항이 예상된다.
시 관계자는 "이 사업이 단순한 군부대 이전이 아니라 민군 상생 차원의 군부대 이전이라는 점을 국방부도 잘 알고 있고 사업 초기부터 관군 협의체를 운영하는 등 실무 차원의 협의를 잘 해왔기에 앞으로도 국방부와 협의는 잘 이뤄질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