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혈증을 이겨내는 힘, 가장자리 B림프구에서 찾다

POSTECH 이윤태 교수팀, B림프구 형성 메커니즘 및 패혈증 사이의 상관관계 규명

2024-12-23     김산호
▲ 연구관련 이미지 ⓒPOSTECH
POSTECH 생명과학과 이윤태 교수, 통합과정 박종석 씨 연구팀은 패혈증을 유발하는 중요한 세포인 '가장자리 B림프구'의 형성 메커니즘을 밝혀내며, 패혈증 치료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 연구는 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 최근 게재됐다.

'가장자리 B림프구'는 체내 면역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세포로 몸속 혈액을 걸러내는 비장이라는 기관 내에 있다.

해당 세포는 혈액을 통해 들어오는 병원균 등 외부 물질에 신속하게 반응하며 몸의 첫 번째 방어선인 선천 면역에 관여하며, 항체를 만들어 공격하는 후천 면역에도 참여한다.

하지만 가장자리 B림프구가 지나치게 활성화되는 경우 패혈증을 비롯한 심각한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가장자리 B림프구가 형성되려면 Notch 수용체를 통해 신호를 내부로 전달해야 하는데, 이 수용체의 활동을 조절하는 인자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진 바가 많지 않았다.

이번 연구에서 이윤태 교수님 연구팀은 Notch 신호전달 경로가 'CIC(Capicua)'와 'ATXN1L(Ataxin1-Like)'라는 단백질 복합체에 의해 조절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특히, 'ETV4'라는 인자가 CIC-ATXN1L 복합체의 유전적 결함으로 인해 과도하게 발현되고, 그 결과 Notch1과 Notch2 유전자 발현이 억제된다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연구팀은 생쥐 모델 실험을 통해 CIC-ATXN1L 전사복합체에 결함이 생기면 결과적으로 가장자리 B림프구 수가 줄어들고 제대로 자라지 못해 패혈증에 대한 저항성을 높인다는 결과도 얻었다.

가장자리 B림프구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6'을 분비하는데, 이 물질이 과도하게 분비되면 장기에서 염증 반응이 촉진되어 패혈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POSTECH 이윤태 교수는 "이번 연구는 패혈증 치료를 위한 새로운 약물 개발 가능성을 제시하며, CIC-ATXN1L 복합체와 ETV4 전사인자가 치료의 중요한 타깃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라며 연구의 의의를 설명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BK21 4단계 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