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미분양 주택 정점 찍고 7개월 연속 감소

1만3천987호 比 3천486호 줄어…9월 1만501호로 하락세 지속…‘악성 미분양’ 한 달만에 재감소

2023-10-31     김만영
ⓒ류가현 기자

대구지역 미분양 주택이 7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이면서 9월말 기준으로 미분양은 1만501호로 줄어들었다.

31일 대구시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지역 미분양 주택은 1만501호로 집계됐으며, 8월(1만779호)보다 278호 줄었다.

지역별로는 남구(2천371호), 달서구(2천257호), 수성구(1천445호), 북구(1천432호) 순이다.

대구에서는 지난 2월(1만3천987호) 미분양이 정점을 찍고 3월(1만3천199호)에 감소로 돌아선 뒤 지금까지 7개월 연속 감소세다.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도 한 달 만에 다시 감소했다.

9월 준공 후 미분양은 714호로 전월(791호)보다 77호 줄었다.

대구지역 준공 후 미분양은 지난 4월 1천17호로 정점을 찍은 뒤 지난 7월까지 3개월 연속 감소했다가 8월에 반짝 증가(36호)했다.

미분양 주택 물량은 전국적으로도 줄어드는 추세다. 수도권에서는 연초 대비 6개월 동안 37% 넘게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인포가 국토교통부 미분양 주택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 8월 전국 미분양 주택 6만1천811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올해 1월(7만5천359가구) 대비 17.9% 감소한 수치다.

미분양 주택 물량은 지난 2월 7만5천438가구를 기록한 뒤 8월까지 6개월 연속 감소세를 유지했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의 미분양 주택이 올해 1월 1만2천257가구에서 8월 7천676가구로 37.3% 급감했다.

같은 기간 지방은 6만3천102가구에서 5만4천135가구로 14.2% 줄었다.

이에 따라 미분양 사업장의 완판 소식도 들려오고 있다.

지난해 4월 분양을 시작했지만 주변 시세보다 비싸 계약률이 저조했던 서울 강북구 '포레나 미아'가 이달 분양을 마감했다.

지난달 인천 서구 '왕길역 금호어울림 에듀그린'도 5개월 만에, 경기 파주 'e편한세상 헤이리'는 9개월 만에 모두 미계약 물량을 털어냈다.

지방에서도 1년 이상 미분양으로 남아 있던 대구 수성구 '범어자이'와 '만촌 자이르네' 등이 최근 완판됐다.

이처럼 미분양 물량이 줄어들고 있는 것은 분양가 상승과 공급 감소의 영향으로 보인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 집계 기준 지난 9월 말 서울 아파트의 3.3㎡당 평균 분양가는 전년 동월 대비 14.05% 뛰었다.

또 올해 들어 지난 9월 전국 분양 물량은 12만6천345가구로, 2020∼2022년 연간 36만∼38만가구가 공급됐던 것을 고려하면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아울러 최근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 간 전쟁으로 원자재 가격 인상 가능성이 커지면서 아파트 공급 차질 우려를 키우기도 했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분양 당시 비싸다고 생각했던 곳도 최근 분양가와 집값도 오르면서 공급 가격이 합리적이라는 인식이 커졌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