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정부, 2025년 전기차 113만대, 이차전지 등 관련산업 집중 육성...포항시 '수혜도시' 될까
현대자동차에서 '미래차 확산 및 시장선점 전략' 발표 전기수소차 인프라 확대 정책...이차전지, 연료전지 등 관련산업 집중육성 포항시, 이차전지 배터리 특구 선정에 이어 '수혜도시' 발돋움 큰 기대
현재 국고 보조와 지방보조를 받고 있는 전기차 구매단가가 2025년이면 한층 저렴해질 전망이다.
또 전기차 충전소 또한 대폭 확대되며 전기차의 핵심인 배터리 리스(대여)도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정부가 이차전지, 연료전지, 이차전지 소재·부품·장비 등 미래차 핵심부품 산업도 집중 육성할 뜻을 밝혀 포항시가 '수혜도시'로 떠오를 것이라는 조심스런 전망도 제기되고 있다.
포항시는 지난 2011년부터 배출가스 발생이 없는 친환경자동차인 전기자동차를 2011년부터 2천43대를 보급했다.
내년에도 총 86억원의 재원을 마련해 승용차 350대, 화물 180대 등 총 530대의 보급을 위해 승용차종에 따라 최소 575만원에서 최대 1천400만원 지원하기로 했다.
이렇게 국비와 지방비 지원을 하는 전기차 판매단가가 오는 20225년이면 지금보다 1천만원가량 저렴해질 전망이다.
이에 더해 전기차 배터리를 빌려 쓰는 '배터리 리스(대여)'가 가능해져 소비자의 초기 차량 구매가격이 지금의 절반 수준으로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
현재 포항시는 현재 공영주차장, 관공서 등 공공시설에 총 94기의 충전소가 운영되고 있는데 '배터리 리스'가 가능해지면 전기차 유지 및 구매에 큰 이득이 예상되고 있다.
이같은 내용은 정부가 현대자동차(005380) 울산공장에서 발표한 '미래차 확산 및 시장선점 전략'에서 나왔다.
정부는 '2025년 전기차 113만대·수소차 20만대 보급' 목표를 제시하고 미래차의 편의·가격·수요 등 3개 부문을 혁신하기로 했다.
전기차 충전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전기차 충전기의 신축건물 의무설치 비율을 확대하고, 기존건물에 대한 의무설치 비율도 신설한다.
이를 통해 거주지, 직장 등 생활거점에 2025년까지 전기차 충전기 50만기 이상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또 민간과 협력해 전기차 핵심부품인 배터리 시스템에 대한 연구개발(R&D)을 진행하고 전용 플랫폼을 개발·적용하기로 했다.
이를 통한 원가 절감으로 2025년 전기차 단가를 지금보다 1천만원 인하한다는 계획이다.
전기차 배터리를 대여해서 쓰고 나중에 반납하는 배터리 리스 시범사업도 다음 달부터 추진한다.
배터리 리스 시범사업이 활용하면 차량 가격에서 배터리 가격이 빠져 소비자의 보조금 수령 후 구매 가격이 현재의 절반 수준으로 대폭 낮아질 것으로 설명했다.
아울러 환경 개선 효과가 큰 택시, 버스, 트럭 등 상용차에 대한 보조금 지원이 확대하는데 전기택시에 200만원의 보조금을 추가로 지급하고 수소트럭 국가보조금을 2억원 규모로 신설할 예정이다.
승용차는 내년부터 가격 구간별 상한제를 도입한다. 차량 가격이 보조금 지급 구간을 약간 넘는 경우 완성차업체가 구간에 포함되도록 가격을 인하하는 효과를 유도하기 위해서다.
이를 통해 2025년까지 전기차 46만대, 수소차 7만대, 하이브리드 30만대를 수출해 완성차 수출의 35%를 친환경차로 전환하기로 했다.
이차전지, 연료전지, 이차전지 소재·부품·장비 등 미래차 핵심부품도 신(新) 수출상품으로 육성한다. 이차전지 매출은 현 16조원에서 50조원까지 늘릴 계획이다.
이렇게 되면 포항시가 중점육성하고 있는 영일만산단의 에코프로 등 이차전지 관련산업이 더욱 활성화되면 포항시 산업에 새로운 도약계기를 맞이하게 된다.
포항시는 이번 정부의 발표에 영일만산단과 블루밸리 국가산단의 이차전지 특구 선정에 이어진 더 큰 수혜가 있을 것이라고 내심 큰 기대를 걸고 있는 분위기다.
정부 관계자는 "이번 전략을 차질없이 이행해 2022년 미래차 대중화 원년으로 도약하고, 2025년에는 미래차 친환경 사회·산업생태계를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