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내놓은 작년 인구동향조사 결과는 인구 감소로 결국 대한민국이 자연 소멸하게 될 것이라는 소설 같은 전망이 기우가 아닐 수도 있음을 보여준다. 작년 합계출산율은 0.92명으로 사상 최악이었던 전년의 0.98명보다 더 떨어졌다.

해마다 출산율이 바닥을 파고 내려가는 모습이다. 세계에서도 유례가 없을 정도로 출산율이 낮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6개국 평균인 1.65명의 반 토막 수준이다. 올해를 기점으로 사망자 수가 출생아보다 많은 인구의 자연감소가 시작된다.

전문가들은 국가의 존속에 필요한 인구 유지를 위해서는 출산율이 2.1명은 돼야 한다고 본다. 출산율 1명을 밑돈다는 것은 한 세대가 지나면 출생아 수가 지금 수준의 절반 이하로 줄어든다는 의미라는 통계청 설명을 감안하면 국가의 증발을 향한 카운트다운은 이미 시작됐다고 봐야 한다.

정부는 2006년 저출산·고령화를 국가 주요 현안으로 본격적으로 다루기 시작한 이후 지금까지 185조원이라는 천문학적인 재정을 투입했다. 하지만 백약이 무효였다. 정책이 사회의 변화나 현장에 천착하지 못하고 겉돌았기 때문이다.

정부도 이런 점을 의식해 과거 정권이 내세웠던 출산율 목표를 버리고 삶의 질을 높임으로써 자연적으로 출산율을 높여가는 쪽으로 정책의 방향을 선회했으나 구체적 중장기 로드맵은 나오지 않고 있다.

육아와 교육, 주거, 일자리 등에서 상상을 뛰어넘는 혁명적 정책을 내놓고 독박 육아, 경력 단절 등을 해소해야 한다. 이는 지방자치단체들이 다투어 시행하지만, 효과가 없는 출산장려금 등의 일회성 포퓰리즘이 아니라 육아부터 교육과 취업, 주거까지 사회와 국가가 책임을 져야 한다는 뜻이기도 하다.

다른 한편으로는 인구 감소에 따른 생산력 저하를 막기 위해 고령자나 여성의 경제활동을 극대화하고 외국인의 국내 이민정책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현실을 인정하고 시대 흐름에 맞게 인구정책을 혁신할 시점이 됐다.

저작권자 © 영남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