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환매 중단 사태를 빚은 라임자산운용에 투자한 일부 투자자들이 원금을 거의 모두 날리게 됐다.

라임자산운용은 14일 회계법인으로부터 받은 펀드 실사 내용을 바탕으로 기준가격을 평가한 결과 환매가 중단된 1조6천700억원 가운데 절반이 넘는 9천300여억원의 자산 손실이 발생했다고 발표했다.

라임 펀드를 판매하거나 TRS 약정을 한 은행과 증권사 등은 이미 거액의 대출 이자와 판매 수수료를 챙겼다. 라임자산운용의 임원들은 고액 연봉 잔치를 벌였다. 작년에 이 업체는 13억5천만원의 당기손실을 냈으면서도 임원은 평균 6억원, 직원은 1인당 1억8천만원을 받았다.

결국 운용사와 판매사 이익만 극대화한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정보가 부족한 일반 투자자만 쪽박을 차게 됐다. 감독 당국은 이번 사태를 일으킨 펀드 운용사와 판매사의 책임을 추궁해 엄정하게 법적 책임을 물어야 한다.

환매 연기 펀드에 투자한 개인계좌는 4천35개, 설정액은 약 1조원에 육박한다. 지금까지 투자자의 분쟁 조정 신청은 214건에 달한다. 펀드 운용과 판매 과정에서 위험 관리나 내부통제가 전혀 작동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단기에 현금화가 어려운 장기 자산에 투자하고 환매는 수시로 가능하도록 펀드를 설계해 애초부터 미스매치(상환과 만기 불일치) 리스크를 안고 있었다. 투자한 업체의 전환사채(CB)에서 손실이 발생하자 이를 다른 펀드에 액면가로 편입하도록 해 손실을 전가했다.

많은 투자자는 은행과 증권사의 창구 직원들이 고위험에 대한 고지 없이 상품을 원금이 보장되는 예금처럼 팔았다고 증언하고 있다. 파생결합펀드(DLF) 사태에서 이미 운용사와 판매사의 모럴해저드를 목도했지만 이번 사태는 급이 다른 복마전이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감독 시스템의 혁신과 효율적 인력 운용에 대해 치열하게 고민해야 한다.
저작권자 © 영남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