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별 온도차…한국 10대 위험에 '숙련노동 인력 부족' 첫 진입

전 세계 위험관리 전문가들이 올해 가장 큰 사업 위험 요인으로 사이버 문제를 꼽았다.

세계적인 보험사 독일 알리안츠가 102개국의 위험관리 전문가 2천718명을 상대로 조사해 발표한 '알리안츠 리스크 지표 2020'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주요 사업 리스크 요인(최대 3개 복수 응답)으로 응답자의 39%가 '사이버 사건'을 지목했다.

위험관리 전문가는 기업 경영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험요인을 인지해 예방책을 마련하고 리스크 발생 시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전략을 세워 실행하는 등의 업무를 맡는다.


사이버 사건은 사이버 범죄, 정보기술(IT) 결함, 데이터 유출 등을 모두 포함해 지칭한 용어로 7년 전 조사 때는 응답 순위가 15번째에 불과한 리스크였다.


하지만 갈수록 데이터와 IT 시스템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진 끝에 이 순위가 발표되기 시작한 2012년 이래 처음으로 이번에 1위에 올랐다.

작년에 응답률 1위였던 '사업 중단'(37%)은 올해 2위를 차지했다.

무역전쟁,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경제 제재, 보호주의 등을 포괄해 지칭한 '법률 및 규제 변화'가 27%로 응답률이 3번째로 높았고 '자연재해'(21%), '시장환경'(21%), '화재 및 폭발'(20%), '기후변화'(17%) 등 순이었다.

나라별로 나눠 보면 위험관리 전문가들이 크게 느끼는 위험요인이 조금씩 달랐다.

한국의 경우는 사이버 사건(30%)과 함께 시장환경(30%)이 공동 1위를 차지했다.

시장환경은 시장 변동성, 경쟁 과열, 인수합병, 시장 침체 등을 지칭하는 위험 요인으로, 지난해 한국 위험전문가들의 응답 순위에서는 8위였다.

화재 및 폭발(29%), 사업 중단(25%), 자연재해(19%), 신기술(19%)도 한국에서 주요 위험요인으로 꼽혔다.

특히 한국에서는 처음으로 숙련된 노동 인력 부족(13%)이 10대 위험요인 목록에 올랐다.

일본에서는 작년에 이어 올해도 자연재해(51%)가 최대 위험요인으로 꼽혔다.

중국에서는 사업중단(30%)이 응답률 1위였다. 기후변화(20%)와 함께 전염병 발발을 비롯한 보건 문제(18%)가 중국의 10대 리스크에 처음 진입했다.

미국에서는 사이버 사건(43%), 사업 중단(37%), 자연재해(32%) 등이 주요 리스크로 지목됐다.
저작권자 © 영남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