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명중 6.5명이 북부지역에서 전입
신도청 신도시 사업 전면 재검토 요구


경북도청 신도시에서 살고 있는 인구 대부분이 안동과 예천에서 전입해온 것으로 나타나 신도청 조성사업이 인근지역의 불랙홀이 되고 있다.

신도청 이전에 따른 인구유인정책과 정주환경 조성이 실패했다는 비판이 제기되기면 신도청 조성사업에 대한 전면 재검토에 힘이 실리고 있다.

경북도 신도청 정주환경 세부사항 자료에 따르면 2019년 12월말 경북도청 신도시의 주민등록 인구는 6천796세대 1만7천443명이며 상주인구는 9천533세대에 2만3천120명으로 나타났다.

주민등록 인구 전입현황을 보면 안동시에서 6천804명, 예천군 2천995명 등 안동과 예천에서 9천799명으로 나타나 전체 주민등록인구 1만7천443명 가운데 56.2%로 집계됐다.

10명 가운에 6명에 가까운 인구가 전입한 것이다. 영주시와 문경시에서 전입한 인구 835명과 522명을 포함하면 신도시 인근에서 전입한 인구는 1만1156명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대구 등 타시도에서 전입한 인구는 12.4%인 2천165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 경북도청 신도시가 인접지역의 블랙홀이되고 있다. 경북도청 신도시 사업 실패에 대한 지적은 경북도의회에서도 제기되고 있다.

계획인구 미달 등 여러 문제가 노출된 도청 신도시 조성사업을 재검토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김명호 도의원 등은 “도청 신도시 목표인구 설정은 실패”라며 “신도시 건설에 대한 재논의를 제안한다”고 재검토를 촉구했다.

그는 “기존 인구를 유지하기조차 어려운 중소도시인 안동과 예천의 경계에 2027년까지 인구 10만명의 자족도시를 만든다는 발상은 시대변화를 읽지 못한 탁상공론이었다”며 “타 시·도에서 인구가 유입될 것이라는 기대와 달리 인구의 40%가 안동에서, 18%는 예천에서 전입했다”고 설명했다.

또 “1단계 사업의 대규모 공공기관 이전과 같은 유인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2단계와 3단계 사업에 유입될 인구도 안동과 예천 등 인근 시·군 주민이 될 것”이라며 “2단계 사업 목표인구 4만5천명도 현실적으로 실현 가능성이 크지 않다”고 분석했다.

한편 도시계획 전문가들도 1단계 사업에 대한 냉정한 평가를 통해 현재 진행 중인 2단계 사업을 재점검하고 나아가 신도시 전체 개발계획에 대한 합당한 목표를 재설정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저작권자 © 영남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