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역대 최저치인 0.0%를 기록했다. 공식 발표는 이렇지만 수치를 반올림하기 이전으로 돌려보면 -0.038%로 첫 마이너스다.

농·축·수산물 가격과 국제유가가 내린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우리나라는 1965년부터 소비자물가 통계를 내기 시작했는데 이처럼 낮은 상승률은 없었다. 물가가 낮으면 일단 소비자들은 반가워한다.

수십년간 고물가에 시달리던 서민들이다 보니 물가가 안 오르면 살만하다고 느낄 수 있다. 하지만 정책당국자들이나 경제학자들이 이 통계를 보는 시각은 착잡하다.

경제학에서 물가가 오르는 건 인플레이션, 물가가 내려가는 건 디플레이션이라고 한다. 인플레가 심하면 소비자들이 힘들어하는 건 익히 알고 있다. 반대로 디플레면 즐거워해야 할까. 현실은 그렇지 않다. 오히려 경제학자들은 디플레이션을 더 우려한다. 경제가 활력을 잃고 있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디플레이션이라고 모두 안 좋은 건 아니다. 기술혁신을 비롯해 긍정적 요인으로 비용이 절감돼 물가가 내려갔다면 경제는 활력을 얻게 된다. 우려해야 할 것은 수요감소 등 부정적 요인에 따른 디플레이션이다.

지나친 우려도 안 될 일이지만 현 경제 상황을 좋게만 봐줄 수 있는 것도 아니다. 물가 상승률이 0%대로 몇 달 간 지속하는 것은 경제 활력이 떨어져 있음을 방증하는 것이다.

3일 발표된 한은의 2분기 경제성장률 잠정치는 전 분기 대비 1.0% 올랐다. 그 기여도를 따져보면 정부가 1.2%포인트지만 민간은 -0.2%포인트다. 민간 부문이 성장세를 깎아 먹는데 정부가 재정으로 떠받친 모양새다.

성장은 기본적으로 민간, 즉 기업이 이끌어야 하는데 지금은 거꾸로 됐다. 이런 양상은 오래가지 못한다. 더욱이 하반기 경제는 더 안 좋을 가능성이 크다. 미중 무역전쟁, 한일 갈등 등으로 대외여건이 매우 불안한 탓이다.

안일한 대응으로 해결될 상황이 아니다. 비상한 마음으로 경제가 활력을 찾도록 전력을 기울여야 한다.
저작권자 © 영남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